Wittgenstein’s earlier philosophy and latter work

2019. 5. 28. 00:47L. Wittgenstein

Wittgenstein’s main approach had more to do with the philosophical pursuit of extended knowledge through means of extrapolating more meaning from the natural world through our understanding of the “atomic facts” which we create blurred and generalistic images of in our minds. He argues that coming up with new metaphysical theories based on the truth values of facts about the world is nonsense. This is because the world only presents itself. The world doesn’t just show us truths about itself so that we can come up with new theories. His approach was somewhat like anti-philosophy.

Even though his latter works seem to go completely against the Tractatus, they kind of support this anti-metaphilosophy approach to language. He later expands his doctrine on metaphysics. (The early Wittgenstein only talked about instances of language where we attempt to gain insight based on what’s true, what’s not true, and what is down right nonsense.) His later work talks about language as a whole and how it is used as a tool within interpersonal communicating which further promotes the idea that language, logic, and mathematics cannot be used to extrapolate set facts about the metaphysical nature of reality; in his view, those things are only used as tools for getting things done in an effective manner not to understand the mind of “God.”

전기 사상에서 비트겐슈타인의 주요한 접근 방식은 우리가 정신에서 창조하는 희미하고 일반적인 그림, 즉 원자적 명제(Atomic Facts)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자연 세계로부터 더 많은 의미들을 추론해내고 확장된 지식에 대한 철학적 추구, 사유를 하는 것이다.

그는 세계에 대해 풀어낸 형이상학적 이론들(사실에 대한 참된 가치, 이에 기반한 것들)은 의미가 없는 말이라 주장한다. 세계란 그저 우리에게 보여질 뿐이며, 우리는 새로운 이론들을 생각해내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의 접근은 다소 철학을 부정하려 하였다.

그의 후기 작품은 Tractatus의 접근과 완전히 반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여전히 언어로의 형이상학적 접근 방식에 대해 반대하는 의견을 견지하고 있다. 또한 후기 사상에서는 형이상학에 관한 그의 교리를 확장시킨다. (초기 비트겐슈타인은 사실이 무엇인지, 의미 없는 말이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논의를 하였다.) 후기 작품은 언어 전체에 대한 논의와 언어가 도구로서 상호간 의사소통이 사용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래서 “언어, 논리, 수학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형이상학에 대한 실재적인 진실을 추론시킬 수 없으며,(단지 보여질 뿐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이루어지는 용어들은 “God”, 말하자면 신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효과적인 방식으로 일을 처리하는 도구로서만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