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철학(7)
-
✏️『논리철학논고』그림 이론과 반례 | 2023.05.07
『논리철학논고』(Tractatus Logico-Philosophicus)는 그의 첫번째 저작이다. 철학에서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와 현실 사이의 관계에 대해 탐구한다. 비트겐슈타인은 이 관계를 그림 이론(Picture Theory) 또는 거울 이론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며, 언어는 현실을 정확하게 묘사하기 위한 거울처럼 작용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는 이 원리를 통해 언어의 구조를 분석하고, 그 결과로 언어와 현실 사이의 깊은 관계를 이해하고자 했다.비트겐슈타인의 대표작인『논리철학논고』(Tractatus Logico-Philosophicus)는 대표적으로 3가지를 말한다.1. 언어와 현실 사이의 거울 관계•"세상의 것들은 우리가 그것들을 말하면서만 우리의 마음속에서 이미 나타나 있다." (1.1)•"문장은 ..
2023.05.07 -
✏️포격 속에 써내려간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일기 | 2022.09.23
[책&생각] 포격 속에 써 내려간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일기 1차대전 참전 병사 내밀한 일기개인적 기록과 철학적 기록 병행‘논리철학논고’의 발원처 구실비트겐슈타인 마음으로 난 문 www.hani.co.kr
2022.10.10 -
✏️철학의 본성 | The Nature of Philosophy
“철학”이란 단어는 자연 과학의 옆에 나란히 있는 것이 아니라, 위 또는 아래에 있는 것을 의미해야만한다.“ (TLP 4.111) 그닥 놀랍지 않지만 ”철학적 작업 속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명제와 물음은 거짓이 아니라 무의미한 것이다.“ 그러면 다음의 질문이 가능하다. 정말로 철학이란 것은 그것이 논리를 논할 때, 기껏해야 무의미(unsinnig)하거나 또는 의미가 결여된 것(sinnlos)인가? 철학자에게 남겨진 것은 (전통적이거나 심지어 혁명적인 것이라도) 미학과 인식론, 도덕적 명제를 의미 있는 방법으로 일반화/공식화할 수 없다는 것인가? 저 두 물음에 대한 답은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 대한 묘사로 알 수 있다. : 철학은 이론 또는 교리가 아니라 활동이다. 철학적 활동이란 사고의 명료화, 나아가 언..
2022.10.09 -
청년 비트겐슈타인의 불태우지 못한 일기 (4/4)
“내 작업은 논리의 기초에서 시작하여 세계의 본질까지 확장되었다.” 1차세계대전 참전은 비트겐슈타인의 일생에서 가장 결정적인 사건이었습니다. 수학기초론과 논리학에 국한되어 있던 그의 사유는 전쟁을 거치면서 형이상학, 윤리학, 미학 등을 아우르는 위대한 철학의 반열에 올라섰고, 그는 불멸의 철학서 《논리철학논고》의 저자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그가 참전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그는 성장 과정에서 두 형의 자살을 목격했고, 철학자 오토 바이닝거의 사상과 자살에 깊은 충격을 받았습니다. 이후 철학적 영역을 확립해가던 중 겪은 아버지의 죽음은 그에게 또 한 번 죽음의 문제를 상기시킵니다. 자살이 해답이 아니라고 느꼈던 그에게 삶을 완성하는 방법으로 전장에서의 죽음이라는 가능성이 떠올랐을 거라 추측할 수 ..
2020.10.22 -
청년 비트겐슈타인의 불태우지 못한 일기(3/4)
비트겐슈타인의 글을 이해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입니다. 《논리철학논고》의 모든 문장은 사실상 독립된 표현이며, 이 저술은 일체의 논증이나 설득도 없이, 전적으로 선언으로만 이루어진 신비로운 책입니다. 전통적 의미의 책이라는 매체는 철저하게 부정되며, 기존 철학서의 형식에 익숙한 독자의 접근을 거부합니다. 《전쟁일기》에서는 이런 문제가 더욱 심화됩니다. 그렇다면 이 철학자의 매력적이고 오만한 사유에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올바른 것일까요? 한 가지 방식은 비트겐슈타인이 어떤 사유의 전통에서, 어떤 개념과 문제들을 가지고 철학했는지를 살펴보는 ‘이론적' 접근법입니다. 다른 방식으로는 2000년대에 등장한 새로운 해석 풍조인 ‘뉴 비트겐슈타인'이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비트겐슈타인의 삶과 철학 사이의 본질..
2020.10.22 -
청년 비트겐슈타인의 불태우지 못한 일기(2/4)
“내 일기장과 노트들은 제발 부탁이니 불쏘시개로만 쓰십시오. 매일 2-3장씩 난로에 불을 붙이는 데 사용하면 금방 다 쓸 수 있을 겁니다. 활활 잘 타길 바랍니다. 그러니까, 없애버리세요!” (비트겐슈타인이 러셀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 《전쟁일기》는 비트겐슈타인이 1차세계대전 참전 중에 기록한 노트 세 권을 묶은 것입니다. 비트겐슈타인의 자필 원고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며, 그의 초기 사유에서 논리철학적인 사상이 어떤 과정으로 형성되었는지 경험하게 해주는 가치 있는 사료인 동시에, 젊은 비트겐슈타인의 내밀하고 진솔한 자기관찰이 담긴 일기장이기도 합니다. 포로수용소에서 그를 만난 건축가 파울 엥겔만은, 비트겐슈타인이 전쟁 중에 쓴 노트를 바탕으로 《논리철학논고》를 집필한 뒤 이 노트를 모두 파괴했다고 회..
2020.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