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imal Based Food(3)
-
✏️2. 식물의 생존 전략 : 보이지 않는 무기 | 2024.09.02
어린 시절, 모래사장에서 머리만 내놓고 묻혔던 기억이 있는가? 그때처럼 몸이 갇혀서 꼼짝 못하는 상황을 상상해보라. 그 상태에서 갑자기 아이들이 나타나 당신의 얼굴을 축구공처럼 차기 시작한다면 얼마나 답답하고 무력하게 느껴질까? 식물들도 이와 비슷한 상황에 놓여 있다. 곤충이나 동물이 식물을 먹어도 식물은 도망치거나 방어할 수 없다. 약 4억 7천만 년 동안 진화해 온 식물들은 생존을 위해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방어 기제를 발전시켜 왔다. 식물은 오랜 시간 동안 자신을 먹으려는 생물들과 끝없는 무장 경쟁을 벌여 왔다.물리적인 방어로는 선인장의 가시나 덤불의 가시가 있다. 숲에서 가시에 찔린 적이 있는가? 이런 물리적 방어는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식물들은 더 나아가 화학적 방어 기제도 발전시켰다. 이 화..
2024.09.02 -
✏️3. 농업은 인류 최악의 실수인가 | 2024.09.02
농업이 '인류 역사상 최악의 실수'라는 주장은 다소 과격하게 들릴 수 있지만, 농업은 실제로 인류의 삶에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우선, 사람들이 가장 소중히 여기는 것은 무엇일까? 대부분은 집이나 가족을 떠올리겠지만, 궁극적으로는 건강이 가장 중요하다는 결론에 이를 것이다. 건강이 있을 때 우리는 삶의 모든 것을 누릴 수 있지만, 건강을 잃으면 그 가치를 절실히 깨닫게 된다. 인류의 건강도 한때 매우 좋았으나, 약 12,000년 전 농업이 시작되면서 큰 변화가 일어났다.도입은 인간의 삶을 혁신적으로 개선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실제로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했다. 재러드 다이아몬드는 『총, 균, 쇠』에서 농업의 출현을 '인류 역사상 최악의 실수'로 묘사하며, 이 변화가 인류 건강에 미친 부정적인 영향을..
2024.09.02 -
✏️1. 먹이사슬의 최상위 포식자 | 2024.08.27
우리가 얼마나 많은 고기를 먹었을까? 과거 인간은 식물과 동물을 모두 섭취하지 않았을까? 사냥뿐만 아니라 채집도 했을 가능성이 있지 않았을까? 이는 매우 흥미로운 질문이다. 운이 좋게도, 이러한 질문에 답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일종의 '타임머신'이 존재한다. 바로 화석화된 뼈의 질소 안정 동위원소 δ15N의 양을 분석함으로써, 과거에 얼마나 많은 동물성 식품을 섭취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다.질소 안정 동위원소 수치를 통해 단백질의 주된 공급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물이 먹이 사슬에서 어느 위치에 있었는지도 추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식동물은 3~7%의 값을, 육식동물은 6~12%의 값을 보이며, 잡식동물은 이 둘의 중간에 위치한다. 그런데 네안데르탈인과 초기 현생 인류는 각각 12%와..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