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5. 8. 22:30ㆍPhilosophy
경험적 지식과 순수 지식에 관하여
경험적 지식이란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으로, 이를 통해 인간은 현실을 이해하고 처리한다. 그러나 경험적 지식은 현실을 한계적인 범위에서만 이해할 수 있으며, 불확실하고 변화에 따라 변동적일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반면에, 순수 지식은 이성에 의해 얻어지며, 경험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순수 지식은 인간의 이성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성적인 추론에 기반하여 인간이 가지는 모든 개념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경험적 지식과 순수 지식을 구분하고, 순수 지식이 경험적 지식에 비해 더욱 안정적이고 확실하며, 인간의 이성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 이는 인간이 순수 지식을 통해 현실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순수 지식이란 수학적 개념이나 논리학적 원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경험을 통해 배우거나 경험을 통해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이성적인 추론과 추론에 대한 규칙에 따라 도출된다. 또 다른 예로는 윤리가 있다. 인간의 행동에 대한 규범을 제공하는 윤리학적 원리는 경험에 기반하지 않고, 순수 이성에 의해 도출된다. 인간의 본성이나 가치, 도덕적 의무 등의 개념들은 순수 이성에 의해 도출되며, 이러한 개념들은 경험을 통해 얻을 수 없는 지식이다. 즉, 순수 지식은 경험으로부터 얻을 수 없는, 이성에 기반한 지식으로, 일반적으로 수학, 논리학, 윤리학 등과 같은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이다.
헌데, 우리가 학교에서 도덕과 수학을 배우는 과정은 경험 지식이 아니었는지 물음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덕적 의무나 윤리적 가치와 같은 개념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경험적인 요소가 없이는 발견되지 않는 것이 현실적인 면에서 사실이다.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순수 이성을 통해 도출되는 법칙과 규범이 존재한다. 따라서 도덕적 의무나 윤리적 가치와 같은 개념은 일종의 순수 지식으로 볼 수 있다.
수학적 개념의 경우에도, 우리가 수학적 개념을 배울 때에는 이미 그 개념들이 이전의 수학자들에 의해 발견되어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그 개념들을 경험을 통해 습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들이 경험적인 것이 아니라, 이성의 능력에 의해 도출된 순수 지식인 것이다.
호수(Lake)같은 이성의 철학
칸트는 자신의 철학에서 이성을 호수(Lake)에 비유하였다. 이는 호수가 깊고 맑으며 건강한 물을 제공하는 것처럼, 이성은 깊이 있고 맑아야 하며 건강한 생각과 판단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비유한 것이다.
또한 호수는 주변의 불순물이나 오염 물질에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그 자체로는 순수하고 정제된 물을 담을 수 있는 곳이라는 점에서, 이성도 외부의 영향이나 혼란에 영향을 받을 수는 있지만 그 자체로는 순수한 지식과 이론을 담을 수 있는 곳이라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나는 그의 순수하고 탐구에 관한 순수한 열정에서 호수를 느낄 수 있었다. 칸트는 생애 거의 80년까지 철학을 연구하며, 절대적인 진리를 찾는 끊임없는 탐구와 연구를 계속하여 그의 철학적 업적을 높은 수준에서 유지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그가 높은 연구 열정과 결단력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지속적인 연구 열정이 비로소 그가 존경받는 이유인 중 결정적인 것이라 생각한다.
'Philoso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르메니데스의 일자론 | 2023.05.11 (0) | 2023.05.13 |
---|---|
✏️칸트 순수이성비판 탐구 1 | 2023.05.07 (0) | 2023.05.07 |
✏️국가, The Republic | 2022.09.06 (0) | 2022.10.09 |
올바른 이성의 길, 데카르트의 방법적 서설 - 2 (0) | 2021.05.11 |
올바른 이성의 길, 데카르트의 방법론적 회의 - 1 (0) | 2021.05.10 |